집합 (Set)
집합은 이산수학에서 고려되는 객체유형의 기본구성 요소중 하나다
집합(set)
은 순서가 없는 객체의 모음(collection of objects)이다
집합
의 개체를 원소(element)
또는 구성원(member)
라고 한다
$a∈A$ 표기는 $a$가 집합 $A$의 요소임을 나타낸다
객체의 순서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
- $S = \set{a,b,c,d}= \set{b,c,a,d}$
또, 중복이 의미가 없다. 각각의 고유한 개체는 구성원이거나 구성원이 아니다
- $S = \set{a, a, b, c} = \set{a, b, c}$
패턴이 확실한 경우 모든 구성원을 나열하지 않고 줄임표(…)를 사용할 수 있다
- $S = \set{a, b, c, … , z}$
원소 표기법 (Roaster Notation)
10보다 작은 모든 양수인 홀수 집합
- $V = \set{1,3,5,7,9}$
100보다 작은 모든 양수 집합
- $O = \set{1,2,3,…,99}$
0보다 작은 모든 정수 집합
- $S = \set{…,-3,-3,-1} = \set{-1,-2,-3,…}$
중요한 집합
- $N$ = 자연수 집합 = $\set{0, 1, 2, 3,…}$
- $Z$ = 정수 집합 = $\set{…, -3, -2, -1, 0, 1, 2, 3, …}$
- $Z^+$ = 양수 집합 = $\set{1,2,3,…}$
- $Q$ = 유리수 집합
- $R$ = 실수 집합
- $R^+$ = 양수인 실수 집합
- $C$ = 복수수 집합
set-builder 표기법
모든 구성원이 만족하는 속성을 지정한다
- $S = $ { $x∈Z \mid$ $x$ 는 100보다 작은 양수 }
- $O = $ { $x∈Z \mid$ $x$ 는 100보다 작은 양수인 홀수 }
- $O = $ { $x∈Z \mid$ $x$ is odd and $x < 100$ }
술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 $S = $ { $x∈Z \mid P(x)$ }
- 예시:
- $S = ${ $x∈Z \mid Prime(x)$ }
- $Q^+ = ${ $x∈R \mid$ $x=\frac{p}{q}$, for some positive $p$ and $q$ }
구간 표기법 (Interval Notation)
Notation | description |
---|---|
(a, b) | {$x \mid a < x < b$} |
[a, b] | {$x \mid a \leq x \leq b$} |
[a, b) | {$x \mid a \leq x < b$} |
(a, b] | {$x \mid a < x \leq b$} |
(a, ∞) | {$x \mid a < x $} |
[a, ∞) | {$x \mid a \leq x$} |
(-∞, b) | {$x \mid x < b$} |
(-∞, b] | {$x \mid x \leq b$} |
(-∞, ∞) | $R$ (set of all real numbers) |
- 열린구간 : (a, b), (a, ∞), (−∞, b), (−∞, ∞)
- 닫힌구간 : [a, b], [a, ∞), (−∞, b], (−∞, ∞)
- 열렸으면서 닫힌구간 (Both open and closed interval) : (-∞, ∞), ∅ = (a, a)
- 열리지도 닫히지도 않은 구간 : [a, b), (a, b]
- half open interval, half closed intervals 로 부르기도 한다
전체집합과 공집합 (Universal Set and Empty Set)
전체집합(universal set)
$U$는 현재 고려중인 모든 것을 포함하는 집합이다
- 암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언급된다
- 내용은 상황에 따라 바뀐다
공집합(empty set, null set)
은 아무 원소도 없는 집합을 뜻한다
- ∅ 심볼을 사용하거나, {}로 표기한다
러셀의 역설 (Russell’s Paradox)
$ S = $ { $X \mid X ∉ X$ } 인 집합에 대해서 $S$는 스스로를 포함하는가?
집합의 특성
집합은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 $\set{\set{1,2,3},a,\set{b,c}}$
- $\set{N,Z,Q,R}$
공집합과 공집합을 포함한 집합은 다르다
- ∅ ≠ { ∅ }
집합의 상등 (Set Equality)
Definition : Two sets are
equal
if and only if they have the same elements
따라서 $A$와 $B$라는 집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동일하다
- $∀x(x∈A ↔ x∈B)$
부분집합 (Subset)
Definition : 집합 A는 B의 부분집합이다, if and only if A의 모든 원소가 B의 원소라면
“집합 $A$는 집합 $B$의 부분집합이다”를 표기하면 $A ⊂ B$ (또는 $B ⊃ A$)
- $⊆$와 $⊇$를 사용하기도 한다. $A=B$ 일 수 있음을 더 강조한다
$A ⊂ B$ holds if and only is $∀x(x∈A→x∈B)$ is true
- $a ∈ ∅$는 항상 거짓이므로, 모든 집합 $S$에 대해 $∅ ⊆ S$ 이다
- $a ∈ S → a ∈ S$ 이므로, 모든 집합 $S$에 대해 $S ⊆ S$ 이다
Definition : The set A is proper subset(진부분집합) of B, if and only if $A ⊆ B$ and $A \neq B$
- It denoted by $A ⊊ B$ or $B ⊋ A$
집합의 부분집합 여부 판단하기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임을 보이기:
- $A ⊂ B$임을 보이기 위해, $x$가 $A$에 속하면 $B$에도 속함을 나타내면 된다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이 아님을 보이기:
- $A ⊈ B$임을 보이기 위해, $x ∈ A$면서 $x ∉ B$인 $x$를 찾아라
- $x$는 $x ∈ A$이면, $x ∈ B$라는 주장에 대한 반례(counterexample)이다
예시
- 학교의 모든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 집합은 학교 모든 학생 집합의 부분집합이다
- 100보다 작은 제곱을 갖는 정수 집합은 음이 아닌 정수 집합의 부분 집합이 아니다
집합의 상등 파악하기
WIP DN_05_P17
진부분 집합 (Proper subset)
Definition : $A ⊂ B$이지만 $A ≠ B$ 라면, A는 B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다.
$A ⊂ B$라면,
\([∀x(x∈A → B)] ∧ [∃x(x∈B ∧ x ∉ A)]\) 는 참이다.
집합의 크기 (Set Cardinality)
Definition : $S$에 정확히 n개의 개별 요소가 있고 n이 음이 아닌 정수라면, $S$는 유한하다(finite). 그렇지 않다면 무한하다(infinite)
Definition : 유한한 집합 $A$의 크기(cardinality)는 |$A$|로 표기하며, $A$의 고유한 원소 수를 나타낸다
예시
- |∅| $= 0$
- $E$를 영어 알파벳을 담은 집합이라고 했을때, |$E$| $= 26$
- |$\set{1,2,3}$| $= 3$
- |{∅}| $= 1$
- 정수의 집합은 무한하다.
- 무한한 크기를 $א_0$로 표기하고, aleph zero(알레프 제로)라고 읽는다
멱집합 (Power set)
Definition : 집합 $A$의 모든 부분집합을 가진 집합 $P(A)$을 $A$의
멱집합(power set)
이라 부른다
예시:
- If $A = \set{a, b}$ then $P(A) = \set{∅,\set{a}, \set{b}, \set{a,b}}$
n개의 원소를 가지고 있다면, 멱집합의 크기(cardinality)는 $2^n$이다
Tuples
ordered n-tuple
은 정렬된 컬렉션을 뜻한다.
- $(a,b)$는 $(c,d)$와 다음 조건을 때만 동일하다
- $a = c$ and $b = d$
1-tuple
은 singletons
이라 부르며 2-tuple
은 pair
라 부른다
곱집합, 데카르트 곱 (Cartesian product)
정의 : 두 집합 A, B의 데카르트 곱은 (denoted by $A \times B$), $a ∈ A$ and $b ∈ B$인
ordered pairs
(a,b)의 집합이다.[Eng]
Definition : The Cartesian Product of two sets A and B, denoted by A × B, is the set of ordered pairs (a, b) where $a ∈ A$ and $b ∈ B$
$A \times B$ = { $(a, b) \mid (a \in A) ∧ (b \in B)$ }
예시:
$A = \set{a,b}$ $B = \set{1,2,3}$
$A \times B = \set{(a,1), (a,2), (a,3), (b,1), (b,2), (b,3)}$
진리 집합 (Truth sets)
술어 P(x)
와 정의역 D가 주어졌을때, P(x)
가 참이 되게 하는 정의역 D의 원소의 집합을 truth set
라고 정의한다.
truth set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set{x ∈D \mid P(x)}\)
예시:
P(x)
가 $\mid x \mid = 1$이고 정의역이 정수라면truth set
은 $\set{-1,1}$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