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수학 | 집합 연산 (Set Operation)
포스트
취소

이산수학 | 집합 연산 (Set Operation)

부울 대수 (Boolean Algebra)

명제 미적분과 집합록은 모두 부울 대수라고 하는 대수 체계의 일부다

집합론의 연산자는 명제적 미적분학의 연산자와 유사하다

항상 전체 집합 $U$가 존재해야 하며, 모든 집합은 $U$의 하위집합이다

집합의 연산

교집합 (Intersection)

정의 : $A$와 $B$의 교집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A \cap B := \set{ x \in U \mid (x \in A) ∨ (x \in B)}$

예시:

  • $\set{1,2,3} \cap \set{3,4,5} = \set{3} $
  • $\set{1,2,3} \cap \set{4,5,6} = \emptyset$

합집합 (Union)

정의: $A$와 $B$의 합집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cup B := \set{ x \in U \mid (x \in A) ∨ (x \in B)}\]

예시:

  • $\set{1,2,3} \cup \set{3,4,5} = \set{1,2,3,4,5} $

두 집합의 합집합의 크기 (The Cardinality of the union of two sets)

\(\vert A \cup B \vert = \vert A \vert + \vert B \vert - \vert A \cap B \vert\)s

차집합 (Difference)

정의 : $A$와 $B$의 차집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backslash B := \set{ x \in U \mid (x \in A) ∧ (x \notin B)}\]

여집합 (Complement)

정의 : $A$의 여집합을 $\overline{A}$로 나타내고, $U$ \ $A$라고 한다

\[\overline{A} = A^c = A^`= \complement A := \set{x \in U \mid x \notin A}\]

예시:

  • $U$가 100보다 작은 정수일때, $\set{x \mid x > 70}$의 여집합은?
    • 답 : $\set{x \mid x < 70}$

대칭차집합 (Symmetric Difference)

정의 : $A$와 $B$의 대칭 차집합은 $A ⊕ B$, $A △ B$로 표시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 B = A △ B = (A \backslash B) \cup (B \backslash A)\]

집합의 항등원 (Set Indentities)

항등 법칙 (Identity laws)

  • $A \cup \emptyset = A$
  • $A \cap U = A$

지배 법칙 (Domination laws)

  • $A \cup U = U$
  • $A \cap \emptyset = \emptyset$

멱등 법칙 (Idempotent laws)

  • $A \cup A = A$
  • $A \cap A = A$

멱등 법칙 (Idempotent laws for complementation)

  • $\overline{\overline{A}} = A$

교환 법칙 (Commutative laws)

  • $A \cup B = B \cup A$
  • $A \cap B = B \cap A$

결합 법칙 (Associative laws)

  • $A \cup (B \cup C) = (A \cup B) \cup C$
  • $A \cap (B \cap C) = (A \cap B) \cap C$

드모르간 법칙 (De Morgan’s laws)

  • $\overline{A \cup B} = \overline{A} \cap \overline{B}$
  • $\overline{A \cap B} = \overline{A} \cup \overline{B}$

흡수 법칙 (Absorption laws)

  • $A \cup (A \cap B) = A$
  • $A \cap (A \cup B) = A$

보 법칙 (Complement laws)

  • $A \cup \overline{A} = U$
  • $A \cap \overline{A} = \emptyset$

집합의 항등원 증명

여러 방법

  1. 각 집합이 서로의 부분집합임을 증명하기
  2. set-builer 표기법을 사용하고 술어 논리를 적용하기
  3. 멤버십 테이블 (Membership Tables)

드모르간 법칙의 증명

$\overline{A \cap B} = \overline{A} \cup \overline{B}$ 임을 증명하기

증명1 : 서로의 부분집합임을 증명

다음을 증명해 항등임을 증명할수 있다

  1. $\overline{A \cap B} \subset \overline{A} \cup \overline{B}$
  2. $\overline{A \cap B} \supset \overline{A} \cup \overline{B}$

$\overline{A \cap B} \subset \overline{A} \cup \overline{B}$ 풀이

  1. $x \in \overline{A \cap B}$ # 전제
  2. $x \notin A \cap B$ # complement 법칙
  3. $¬[(x \in A) ∧ (x \in B)]$ # intersection 법칙
  4. $¬(x \in A) ∨ ¬(x \in B)$ # 드모르간 법칙 적용
  5. $(x \notin A) ∨ (x \notin B)$ # 술어논리의 부정 적용
  6. $(x \in \overline{A}) ∨ (x \in \overline{B})$ # complement 법칙
  7. $\overline{A} \cup \overline{B}$ # union 법칙

$\overline{A \cap B} \supset \overline{A} \cup \overline{B}$ 풀이

  1. $x \in \overline{A} \cup \overline{B} $ # 전제
  2. $(x \in \overline{A}) ∨ (x \in \overline{B}) $
  3. $(x \notin A) ∨ (x \notin B) $
  4. $¬(x \in A) ∨ ¬(x \in B) $
  5. $¬((x \in A) ∧ (x \in B)) $
  6. $¬(x \in A \cap B) $
  7. $x \in \overline{A \cap B}$

증명2 : set-builder 표기 : 드로므간 법칙

  • $\overline{A \cap B}$
  • $ = \set{x \in U \mid \overline{A \cap B}}$
  • $= \set{x \in U \mid ¬[x \in (A \cap B)] }$
  • $= \set{x \in U \mid ¬[(x \in A) ∧ (x \in B)] }$
  • $= \set{x \in U \mid ¬(x \in A) ∨ ¬(x \in B) }$
  • $= \set{x \in U \mid (x \notin A) ∨ (x \notin B) }$
  • $= \set{x \in U \mid (x \in \overline{A}) ∨ (x \notin \overline{B}) }$
  • $= \set{x \in U \mid x \in (\overline{A} \cup \overline{B}) }$
  • $= \overline{A} \cup \overline{B} $

Membership Table

예시

분배 법칙이 성립함을 보이기 위해 Membership 테이블을 구성하기

\[A \cup (B \cap C) = (A \cup B) \cap (A \cup C)\]
$A$$B$$C$$B \cup C$$A \cup (B \cap C)$$A \cup B$$A \cup C$$(A \cup B) \cap (A \cup C)$
11111111
11001111
10101111
10001111
01111111
01000100
00100010
00000000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