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수학 | 집합의 크기 (Cardinality of Sets)
포스트
취소

이산수학 | 집합의 크기 (Cardinality of Sets)

크기 (Cardinality)

정의 : 집합 A의 크기(cardinality)는 iff 집합 B와 일대일 대응(bijection)인 경우만 집합 B와 동일하며 $\mid A \mid = \mid B \mid$로 표현된다

A에서 B로의 일대일 함수(Injection)가 있는 경우, A의 cardinality가 B의 cardinality보다 작거나 같다. 이를 $ \mid A \mid \le \mid B \mid$ 로 쓴다

$ \mid A \mid \le \mid B \mid$ 이고 $A$와 $B$가 다른 cardinality를 가졌다면, A의 cardinality가 Bdml cardinality보다 작다고 하고 $\mid A \mid < \mid B \mid$라고 한다

Countable

정의 : 단사(injective) 함수 $S → Z^+$가 존재할 때, 집합 $S$를 가산(countable)이라고 한다

집합 $A$가 countable하다면, 유한하거나 $Z^+$와 같은 cardinality를 가진다

집합이 countable하지 않다면, 불가산(uncountable)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R$은 uncountable한 집합이다

countable한 무한한 집합의 cardinality를 $ \aleph_0 $(aleph null)으로 표현한다 ($ \mid S \mid = \aleph_0 $)

집합이 Countable함을 보이기

무한 집합은 집합의 원소를 sequence(양수의 인덱스를 가지는)로 나열할 수 있는 경우에만 셀 수 있다

정수 집합에서 집합 $S$로의 일대일 대응 함수 f는 $a_1, a_2, … a_n, …$ 등으로 표현 할 수 있다 (where $ a_1 = f(1), a_2 = f(2), …$)

예제 1

짝수인 양의 정수의 집합 $E$가 countable set인지 보이기

풀이

$f(n) = 2n$이라고 하자

  • $1 ↔ 2$
  • $2 ↔ 4$
  • $3 ↔ 6$
  • $…$
  • $n = 2n$

함수 $f$ 는 일대일(injective) 함수이자 onto(surjective) 함수이기 때문에 일대일 대응(bijection)이 된다

  • 일대일(injective)임을 보이기 위해 $f(n)=f(m)$이라고 하자. 그럼 $2n=2m, n=m$이 된다
  • onto(surjective)임을 보이기 위해 $t$가 짝수인 양의 정수라고 하자. 그럼 양수인 $k$에 대해 $t = 2k$이고 $f(k)=t$가 된다

예제 2

정수의 집합 $Z$가 countable set인지 보이기

풀이

sequence(수열)로 나열할 수 있다

\[0,1,-1,2,-2,3,-3,...\]

다음과 같이 $N$에서 $Z$로 가는 일대일대응(bijection)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f(n) := \begin{cases} \frac{n}{2} & (\text{n is even}) \\ -\frac{n-1}{2} & (\text{n is odd}) \\ \end{cases}\]

양의 유리수가 countable함을 보이기

유리수는 두 정수 $p, q (q \neq 0)$로 표현할 수 있다

예제 3

양의 유리수가 countable함을 보여라

풀이

0을 제외한 자연수의 ordered pair $(m, n)$는 유리수 $\frac{m}{n}$에 해당한다

반대로, 모든 유리수 $\frac{m}{n}$은 ordered pair $(m, n)$에 해당한다

0이 아닌 자연수의 모든 ordered pair의 집합 $N^* \times N^$에서 0이 아닌 자연수의 집합 $N^$으로 대각선을 따라 $(1,1), (2,1), (1,2), (3,1), (2,2), (1,3) …*$ 순으로 가는 bijection 함수 $f$는 다음과 같다

\[f(m,n) = \frac{1}{2} (m + n - 1)(m + n - 2) + n\]

문자열 (Strings)

예시 4

유한한 알파벳 $A$에 대한 유한한 문자열 집합 $S$가 countably infinite함을 보여라

풀이

문자열을 sequence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이면 된다

  1. 길이가 0인 모든 문자열을 알파벳 순서로 나열한다
  2. 길이가 1인 모든 문자열을 알파벳 순서로 나열한다
  3. 길이가 2인 모든 문자열을 알파벳 순서로 나열한다
  4. $…$

예시 5

모든 자바 프로그램이 countable함을 보여라

풀이

문자열이 countable함과 동일하게 보이며 아래의 과정이 추가된다

  1. 가져온 문자열을 Java 컴파일러에 입력한다
  2. 컴파일이 성공하면, 구문상 올바른 Java프로그램이며, 해당 프로그램을 목록에 추가한다
  3. 다음 문자열을 확인한다

실수가 uncountable함을 보이기

예시

실수가 uncountable함을 보여라

풀이

다음 과정을 대각선 논법(Cantor's diagnalization argument)이라고 한다

  1. $R$이 countable하다고 하자. 그럼 $0$과 $1$사이 실수 또한 countable하다 (countable set의 부분집합 또한 countable하기 때문)
  2. 0부터 1까지의 실수를 $r_1, r_2, r_3, …$과 같이 나열한다
  3. 소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_i = 0.d_{i1}d_{i2}d_{i3}d_{i4}…, \text{ where } d_{ij} \in [9]_0$
  4. 다음을 이용해 실수 r을 만든다 \(r = e_1e_2e_3... \text{ with } e_i = \begin{cases} 3 & (d_{ii} \neq 3) \\ 4 & (d_{ii} = 3) \end{cases}\)
  5. 이 소수 $r$은 $r_1, r_2, r_3, …$ 어느것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i번째 소수의 위치가 $r_i$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는 자연수로 열거할 수 없다
  6. $R$의 부분집합이 uncountable하므로 $R$도 uncountable하다

COMPUTABILITY

WIP DN_05 p.108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