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적 동등 (Logically equivalent)
술어를 포함하는 문은 동등한 진리값을 가질 경우 논리적으로 동등(logically equivalent)하다
≡
표기는 두 statement가 논리적으로 동등함을 나타낸다
예
∀x ¬(¬S(x)) ≡ ∀x S(x)
양화사(Quantifier)와 논리곱(Conjunction), 논리합(Disjunction)
정의역(domain)이 유한할 경우
전체 양화사(universally quantifier)를 가진 술어는 술어들의 논리곱(conjunction)과 동일하다
존재 양화사(existentially quantifier)를 가진 술어는 술어들의 논리합(disjunction)과 동일하다
예
U = {1, 2, 3}
의 경우
∀x P(x) ≡ P(1)∧P(2)∧P(3)
∃x P(x) ≡ P(1)∨P(2)∨P(3)
정의역이 무한한 경우도 이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식이 무한히 늘어나게 될 것이다
양화사의 부정 (드모르간의 법칙)
¬(∃x J(x)) ≡ ∀x ¬J(x)
¬(∀x J(x)) ≡ ∃x ¬J(x)
루이스 캐롤의 예시
첫 두개의 문장은 가정(premises)
이고, 세번째 문장은 결론(conclusion)
이다
- “All lion are fierce”
- “Some lions do not drink coffee”
- “Some fierce creatures do not drink coffee”
위 문장을 아래 술어 논리문으로 변환할 수 있다.
∀x (P(x) → Q(x))
∃x (P(x) ∧ ¬R(x))
∃x (Q(x) ∧ ¬R(x))
valid, satisfiable, unsatisfiable
valid
술어와 양화사를 포함하는 문장이 다음과 같은 경우 타당하다(valid)
- 모든 정의역에 대해서
- 모든 명제 함수에 대해 참일 경우
예시
∀x ¬S(x) ↔ ¬(∃x S(x))
satisfiable
다음과 같은 술어의 경우 성립한다(satisfiable)
- 몇몇 정의역에 대해
- 몇몇 명제 함수가 술어로 대체가능
예시
∀x (F(x) ↔ T(x))
: 타당하지 않지만(not valid) 성립한다(satisfiable)
unsatisfiable
satisfiable 하지 않은경우
예시
∀(F(x) ∧ ¬F(x))
: 성립하지 않음(unsatisfiable)
bound, free variable
변항 x
에 대해, 양화사에 의해 x
가 사용되는 경우, 이를 범위에 든다(bound)고 한다
양화사에 의해 bound되어 있지 않거나, 특정 값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상수가 아닌경우), 이를 범위를 벗어났다고(free) 한다
예시
∃x (x + y = 1)
x
는bound variable (기속 변항)
y
는free variable (자유 변항)
양화사의 범위 (scope)
양화사의 범위는 변항이 양화사에 의해 bound되는 assertion의 부분을 의미한다
예시
∀x (F(x ∨ S(x)))
:x
는 넓은 범위를 가진다(∀x F(x)) ∨ (∀y S(y))
:x
는 좁은 범위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