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수학 | 양화사의 논리적 동등과 드모르간 법칙, bound와 free, scope
포스트
취소

이산수학 | 양화사의 논리적 동등과 드모르간 법칙, bound와 free, scope

논리적 동등 (Logically equivalent)

술어를 포함하는 문은 동등한 진리값을 가질 경우 논리적으로 동등(logically equivalent)하다

표기는 두 statement가 논리적으로 동등함을 나타낸다

  • ∀x ¬(¬S(x)) ≡ ∀x S(x)

양화사(Quantifier)와 논리곱(Conjunction), 논리합(Disjunction)

정의역(domain)이 유한할 경우

전체 양화사(universally quantifier)를 가진 술어는 술어들의 논리곱(conjunction)과 동일하다

존재 양화사(existentially quantifier)를 가진 술어는 술어들의 논리합(disjunction)과 동일하다

U = {1, 2, 3} 의 경우

  • ∀x P(x) ≡ P(1)∧P(2)∧P(3)
  • ∃x P(x) ≡ P(1)∨P(2)∨P(3)

정의역이 무한한 경우도 이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식이 무한히 늘어나게 될 것이다

양화사의 부정 (드모르간의 법칙)

  • ¬(∃x J(x)) ≡ ∀x ¬J(x)
  • ¬(∀x J(x)) ≡ ∃x ¬J(x)

루이스 캐롤의 예시

첫 두개의 문장은 가정(premises)이고, 세번째 문장은 결론(conclusion)이다

  1. “All lion are fierce”
  2. “Some lions do not drink coffee”
  3. “Some fierce creatures do not drink coffee”

위 문장을 아래 술어 논리문으로 변환할 수 있다.

  1. ∀x (P(x) → Q(x))
  2. ∃x (P(x) ∧ ¬R(x))
  3. ∃x (Q(x) ∧ ¬R(x))

valid, satisfiable, unsatisfiable

valid

술어와 양화사를 포함하는 문장이 다음과 같은 경우 타당하다(valid)

  • 모든 정의역에 대해서
  • 모든 명제 함수에 대해 참일 경우

예시

  • ∀x ¬S(x) ↔ ¬(∃x S(x))

satisfiable

다음과 같은 술어의 경우 성립한다(satisfiable)

  • 몇몇 정의역에 대해
  • 몇몇 명제 함수가 술어로 대체가능

예시

  • ∀x (F(x) ↔ T(x)) : 타당하지 않지만(not valid) 성립한다(satisfiable)

unsatisfiable

satisfiable 하지 않은경우

예시

  • ∀(F(x) ∧ ¬F(x)) : 성립하지 않음(unsatisfiable)

bound, free variable

변항 x에 대해, 양화사에 의해 x가 사용되는 경우, 이를 범위에 든다(bound)고 한다

양화사에 의해 bound되어 있지 않거나, 특정 값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상수가 아닌경우), 이를 범위를 벗어났다고(free) 한다

예시

  • ∃x (x + y = 1)
  • xbound variable (기속 변항)
  • yfree variable (자유 변항)

양화사의 범위 (scope)

양화사의 범위는 변항이 양화사에 의해 bound되는 assertion의 부분을 의미한다

예시

  • ∀x (F(x ∨ S(x))) : x 는 넓은 범위를 가진다
  • (∀x F(x)) ∨ (∀y S(y)) : x 는 좁은 범위를 가진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바로가기